테라코타, 원시적 미래
Terra-cotta, Primitive Future
・전 시 명 : 테라코타, 원시적 미래
・기 간 : 2011. 4. 1. (금) ~ 2011. 8. 28. (일)
・장 소 :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전관
・전시구성 : Part Ⅰ. 신비의 정원
Part Ⅱ. 진화
Part Ⅲ. 타자들
Part Ⅳ. 원시적 미래
・전시규모 : 테라코타 작품 총 30점(1,500피스)
・참여작가 : 7개국 15명
전은정, 최홍선, 원경환, 호시노 사토루(일본), 로손 오이칸(영국),
한애규, 이재준, 아키오 다카모리(일본), 마리안 헤이어달(노르웨이),
이화윤, 주후식, 만프레드 에메네거(독일), 제프슈무키(미국),
야세르 발르만(네덜란드), 사라 린들리(미국)
지표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인 흙과 물을 사용하여 형태 구조와 긴으 유지를 위한 최소의 연료만 산화시켜 제작된 테라코타는 수천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매체이다. 테라코타의 역사는 인류의 정착생활과 함께 시작하였고 시대와 대륙별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과 구현 기술은 문명의 발전 과정과 맥락을 같이하며. 그 지역의 문화와 과학을 가늠하는 척도였다.
이번 전시는 과학을 기반으로 도자기술이 발전한 동시대 상황에서 과거의 유물로 인식되거나 또는 근대적인 표현수단이라는 선입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테라코타에 대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예술적 표현성 친환경성 경제성 등 그 외연을 넓히려는 기획에서 시작되었다.
전시를 구성하는 4개의 소주제는 테라코타에 접속된 21세기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화두들-자연, 과학, 인간, 예술, 환경에 대해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전시는 테라코타의 주재료인 흙의 물성과 테라코타의 조형성을 실험하고, 의미 투사체로써 시대와 사회 속의 인간군상으로 표현된 우리들의 삶을 조망하여, 또한 건축재로써 일상과 주변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장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한 매체에 연결된 유기적인 현상들을 두루 살펴봄으로써 그 매체가 지닌 가치를 다각적으로 살펴 재평가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Part Ⅰ/ 신비의 정원
자연 환경을 가까이하고 동화되고자하는 인간의 욕망은 조그만 화분부터 시작하여 화단과 정원의 형식으로 주거 공간에 녹색 생명체를 끌어들였다. 사회, 과학, 문화 등 모든 것이 급변하는 오늘날의 스마트한 세상 속, 지치고 피곤한 사람들은 더욱 자주 자연을 찾게 된다. 이는 자연의 치유 능력을 믿어 휴식을 취하여 심신을 안정시키고 활력을 재충전하고자 하는 바람이다.
전시의 시작을 실내의 인공적 정원에서 진행하는 의도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신비의 정원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대자연의 품으로 인간을 회귀시키고 망각된 자아의 존엄함을 찾아 신성한 자아로 되돌아오는 자기정화Self Purification의 장소가 된다. 또한 인간이 귀환한 대자연은 시각적 관조의 대상이 아닌 모든 생명의 상생을 위한 생태환경인 것이다.
Ⅰ-1.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전 은 정

1965, 서울, 한국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을 졸업, 파리 라빌레뜨 국립건축대학/국립고등사회과학대학원 협동박사과정 ‘정원,경관,지역’ 의 D.E.A 를 취득하고, 베르사이유 국립건축대학에서 ‘역사경관과 정원’ C.E.A.A를 수료했다.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서안조경 등을 거쳐 현재 조경포레의 대표이며 오래된 것들과 현대의 공존,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사)도코모모코리아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재)아름지기 사무국장을 지내기도 했다. 선유도공원, 서울올림픽미술관 및 조각공원 설계에 참여, 김해 수릉원, 동경주재 주일한국 대사관, 라카이샌드파인 리조트 등을 수행했으며 행복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에 Team ESPLANADE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당선된 바 있다. 프로젝트의 질을 높이고자 틈틈이 설계와 시공을 병행, 이화여고 100주년 기념관, 조선호텔 리노베이션, 다수의 개인정원등을 직접 작업하였다.
▲ 전은정 JEON Eunjeong, 시적인 정원 Poetic Garden, Variable size installation, Mixed Media, 2011
Ⅰ-2.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최 홍 선

1964, 서울, 한국
단국대학교 도예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09년 백해영갤러리(서울)에서 개인전을 비롯하여 9회의 전시를 개최하였으며 2009년 제5회 세계도자비엔날레-Space & Life(여주세계도자관)를 포함하여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한 바 있다. 2003년 세계 도자 비엔날레 국제공모展에서 특별상을 수상하였고, 2005년 세계 도자비엔날레 국제도자 워크숍에 참석하였으며, 2006년에는 중국 사천미술대학 도예과(중경, 중국)에서 강의를 한 바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천), 뮈첸탈러 문화재단(풀턴, 미국), 한국 도자재단(이천), 파주시청(파주)등에 작품이 소장되어있다.
▲ 최홍선 CHOI Hongsun, 순환의 여정 The Journey of Circulation, Variable size installation, Terracotta, Magnetic, 2011
Part Ⅱ/ 진화
흙을 구워 만든 테라코타는 인류가 최초로 화학적 변화를 이용한 물건이다.
선사시대 테라코타는 불을 다루는 기술이 능숙하지 못해 그을음이 표면에 묻어 대부분이 검회색이며, 노천에서 소성되어 크기도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시대를 거쳐 발달된 과학기술은 오늘날 다양한 흙의 색상과 질감 그리고 소성온도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기능뿐만 아니라 예술적 표현도 다채롭게 구현시키고 있다. 또한 흙은 특별한 가공없이 즉시 사용 가능하며 형태유지를 위한 가소서잉 뛰어난 재료이다. 도구 없이 인간의 손으로 직접 성형이 가능한 원초적인 재료이기에 오늘날에도 수많은 미술가들은 흙 속에 잠재된 가능성을 찾아 끝없는 실험을 하고 있다.
Ⅱ-1.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원 경 환
1954, 서울, 한국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하였으며, 동대학 산업미술대학원에서 수학하여 1982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 일본 교토시립예술대학 대학원을 도예전공으로 졸업하였다. W몰(서울), 코엑스몰(서울), 현대해상화재보험(수원), 석수동 e-편한세상(안양), 금광동 래미안아파트(성남), 주택은행연수원(천안), 반곡동 아이파크(원주), 아이노역광장(시즈오카, 일본)에 입체조형물과 도자벽화 등을 설치하였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안산), 서울프레스센터,홍익대학교현대미술관(서울), 삼성미술관(서울), 세계도자센터(이천), 쌈지미술창고(파주), 시가현립도예공원도예관(시가라키, 일본), 미야케디자인(도쿄, 일본), 소게츠미술관(도쿄, 일본), 아이치현립도자자료관(세토, 일본), 노라 에클레스 해리슨 미술관(유타주립대학, 미국),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런던, 영국), 베나키미술관(아테네, 그리스)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현재 한국현대도예가회 회원, 국제도예아카데미(IAC)회원이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유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원경환 WON Kyunghwan, 무제 Untiltled, Variabli size installation, Clay, 2011
Ⅱ-2.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호시노 사토루
1945, 니케타현, 일본
1971년 리츠메이칸대학교(교토, 일본)를 졸업하였다. 2004년 아치브래이재단(헬레나, 몬타나, 미국)을 비롯하여 노슨클래이센터(미네소타), 헌터칼리지(뉴욕), 뉴욕주립 알프레드대학교(뉴욕) 등 다수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2009년 갤러리 데 비테 보에트(암스테르담)에서의 스프링 스노우 09와 2008년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산타모니카, 미국) 등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2010년 잉꺼도자박물관(타이완)에서의 타이완도자비엔날레와 마넬리도자박물관(프랑스)에서 제21회 발로리스 세계 도자 비엔날레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한 바 있다. 국립현대미술관(교토, 일본), 파엔자국립공예박물관(이탈리아),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런던, 영국), 현대미술관((시가현, 일본), 현대도예박물관(기후현, 일본), 미니애폴리스예술학교(미니애폴리스, 미국), 국립현대미술관(도쿄, 일본)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1991년부터 오사카산업대학의 부교수로 학생을 가르쳤으며, 1998년부터 2003까지 동대학의 교수로 재직하셨다.

▲ 호시노 사토루 HOSHINO Satoru, 흙, 물, 불/ 땅, 구름, 태양 2011 Clay, Water, Fire / Earth, Cloud, Sun 2011, Variabli size installation, Earthenware, Smoke Firing, 2011
Ⅱ-3.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로손 오이칸
1961, 런던, 영국
1988년에 센트럴 세인트 마틴 예술학교(런던, 영국)를 도자공예 전공으로 졸업하고, 왕립예술학교(런던, 영국)에서 도자와 유리공예를 전공하여 1990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로손 오이칸 - 우리는 좋게 진화한다.를 시작으로 오스트리아, 독일, 영국, 미국에서 총 9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1995년 덩케르크미술관에서 소성과 무소성 - 영국의 뉴 클레이 워크(덩케르크, 프랑스), 2001년 조선관요박물관에서 IAC 회원전(광주, 경기도, 한국)을 비롯하여 다수의 단체전에 참가하였다.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런던, 영국), 한국도자재단 세계도자센터(이천, 한국), 뉴왁박물관(뉴저지주, 미국),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로스앤젤레스, 미국), 카나리 왈프 그룹 피엘씨 콜렉션(런던, 영국)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 로손 오이칸 Lawson OYEKAN, 물리학 시리즈 Physics Series, Variabli size installation, Red Clay, 2007
Part 3/ 타자들
인간의 자아성과 타자성은 시대와 문화로부터 형성된 관계에 의해 정의되며, 이성에 의해 이해될 수 없는 것이어야만 온전한 타他가 된다. 그러나 살아가며 부딪히는 타인이란 거울에 놀라는 현대인들은, 이 시점에서 경계 밖으로 밀쳐 놓은 타자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하게 된다. 모두가 이해와 화해가 불가능한 대상으로 치부하기에는 자유롭지 못한 인과관계 속에 놓여 있다. 그리하여 온전한 타자가 없듯이 온전한 자아도 될 수 없다. 다만 완전히 독립된 개체가 아닌, 각자가 삶의 진정성을 향해 주어진 시간을 분주히 살고 있는 동시대인으로 다시 설정된다.
Ⅲ-1.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한 애 규

1953, 서울, 한국
1977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80년에 동대학교 미술대학대학원에서 도예를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랑스 앙굴렘 미술학교에서 수학하고 1986년에 졸업하였다.
2008년 인사아트센터, 가나아트갤러리(서울)에서의 꽃을 든 사람展을 비롯하여 다수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2007년 김종영미술관(서울)에서 흙, 그 물질적 상상력展에 참여 하였다. 대전시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시청, 이우학교, 중앙씨푸드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현재는 (주)공간세라믹에 디자인 감독으로 재직 중이다.
▲ 한애규 HAN Aikyu, 기둥 Colimm, Variable size installation, Mixed Clay, 2011
Ⅲ-2.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이 재 준

1971, 서울, 한국
1997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하였으며, 2005년 동대학원 도예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제19회 서울현대도예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대명콘도(양평), W몰 야외공원(서울), 세계도자센터(이천), 두산 주택문화관 외벽 백자 아트월(서울), 이도 포터리(서울), 명동 하나은행 세라믹 파사드(서울)에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2008년 한국공예문화진흥원 기획초대전 검은 새장(서울)외 3회의 개인전과 꿈꾸는 정원 - 개와 고양이에 관한 진실(파주)외 3회의 2인전을 하였으며, 2010년 한국도자재단 특별전 유행遊幸(이천)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여 총 100여 회의 전시에 참여한 바 있다. 건국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는 상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에 출강 중이다.
▲ 이재준 LEE Jaejun, 자연의 수호자 Guardian of The Nature, Variable size installation, Stoneware, Terra Sigillate, Red Copper, Oxidizing Fire, 2003, 2011
Ⅲ-3.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아키오 다카모리

1950, 노베오카, 일본
1971년 무사시노미술대학(도쿄, 일본)을 졸업하였다. 1972~74년에는 일본, 고이시하라에서 전통적인 민속 도예를 익힌 후, 1974년 도미하여 캔자스시티 아트 인스티튜트(캔자스, 미국))에서 1976년 학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1978년에는 뉴욕 주립 알프레드 대학에서 세라믹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아리아나박물관(제네바, 스위스), 라신미술관(라신, 미국), 카네기학회미술관(피츠버그, 미국), 캔자스시티 미술협회(캔자스시티, 미국), 로스앤젤레스카운티박물관(로스앤젤레스, 미국),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 (런던, 영국) 등에 작품이 소장 되어 있다. 1993년 워싱턴대학 미술학과(시애틀)에서 조교수로 학생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1996년에는 동 대학에서 부교수로 이어서, 2004년부터 현재까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아키오 다카모리 Akio TAKAMORI, 남자아이 시리즈 Boy series, 2010
Ⅲ-4.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마리안 헤이어달
1957, 오슬로, 노르웨이
1982년 국립 예술과 디자인 아카데미(오슬로, 노르웨이)를 졸업하였다. 199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10여 차례의 개인전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으며, 수십 여 차례의 단체전을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를 비롯하여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참가하였다. 푸레 국제미술관(푸핑, 중국), 마조티박물관(알비솔라, 이탈리아), 광동 포타오 그룹(신완, 중국), 쉬하이니미술관(포솬, 중국), 도자박물관(칼다스 드 라이하, 포르투칼), 괄도 타디노 박물관(페루지아, 이탈리아)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2001~2003년 국립 예술과 디자인 아카데미에서 강의하였고, 1996~2011년 현재까지 스베르파글리제 쿤스트인스티튜트(오슬로, 노르웨이)에 출강하고 있다.
▲ 마리안 헤이어달 Marian HEYERDAHL, 어린이 군대 Children Army, Variable size installation, Clay, Slip Casting, Fired in Old Coal Fire Kiln, 2008
Part Ⅳ/ 원시적 미래
테라코타는 모든 대륙에서 인류의 정착생활이 시작되자 일상 생활용기부터 부장품까지 폭넓게 사용되어 왔던 매체이다. 자연의 변화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건축재로써 또는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전달하는 표현매체로서도 그 역할을 충실히 하였고, 미술에 있어서도 중요하고 독자적인 재료가 되었다. 여기서는 매체에 응집된 역사성을 토대로 건축적 응용과 함께 미래적 가능성을 다각적으로 모색하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점 선 면이 만나서 공간을 조성하고, 그 공간 속에서 이뤄지는 작가들의 신선한 해석은 테라코타가 가진 진부함을 한 순간에 깨어버리고 매체에 대해 또 다른 가치를 부여한다.
Ⅳ-1.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이 화 윤

1980, 서울, 한국
2003년 건국대학교 디자인 조형대학 공예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코블렌츠대학 예술 도자, 유리학교에서 도자를 전공하여 2010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에는 서울대학교 공예학과 도예전공으로 교환학기를 보냈으며 시리아 치타델레 미술대학(다마스쿠스, 시리아) 도예과에서 페이퍼 클레이 워크숍에 참여하였다. 2010년에는 첫 번째 개인전인 이화윤 도자조형展이 갤러리 이즈(서울)에서 개최되었으며, 단체전으로 코엑스(서울)에서 개최된 공예트렌드페어 기획공모展, 몬타바우어(독일) Current-졸업전시-b-05등 다수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제10회 트리엔날레 공예공모전 수상(프랑크푸르트, 독일), 프렉헤너 도자공모전 우승(프렉헨, 독일), 2009 베스터발트 유럽도자공모전 심사위원 선정 우수작 수상(훼어그렌츠하우젠, 독일)등 다수의 공모전에 참여하여 수상한 경력이 있으며 현재 한국도자진흥재단 이천 도자센터(이천), 훼어그렌츠하우젠의 베스터발트 도자박물관(독일), 훼어그렌츠하우젠의 코블렌츠대학 예술 유리, 도자학교(독일)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 이화윤 LEE Hwayoon, 무제 Untiltled, Variable size installation, Clay, 2011
Ⅳ-2.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주 후 식
1973, 전라남도, 한국
1998년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조소과를 졸업하고, 2007년 동대학원 예술대학 미술학과에서 조소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 Terra-Cotta展을 갤러리 라메르(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연 이래 2009년 노암갤러리(서울)에서 ORB & ORBITAL展을 개최하였다. 2010년 서울시립미술관(서울)에서 한국조각가협회 정기전을, 2009년 오사카(일본)에서 화수목금토展을 , 갤러리 동국(서울)에서 동국미술 100인展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와 중산고등학교(일산)에 출강 중이며 한국조각가 협회, 한국미술협회, 서울시미술협회, 동국조각회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병원(원주)과 국립현대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 주후식 JOO Hoosik,오르비탈 Orbital, 40x40x40cm, 40x40x15cm, Mixed Clay, 2009
Ⅳ-3.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만프레드 에메네거 칸츠러
1953, 발트슈트, 독일
1975~1978년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주(州)에 있는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지질학을 전공 하였다. 1979~1982년에는 도예가 훈련을 받았으며 1988년에는 니더라인 아트 컬리지에서 학위를 받았다. 1988년부터는 조각가로 활동을 하였다. 2011년 에겐시립미술관에서 스페이스 인 비트윈展을 비롯하여 수차례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2001년 그리에스베그 1등상 그리에스버그 퍼블릭 아트(후핀겐)를 비롯하여 2006년 사르란드-팔라티나테 아트 프라이즈(벡스바흐)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2009년에는 아트 앤 아키텍쳐 프로젝트, 리에겔러 토르(쿤스트할레 리에겔)에 참여한 바 있다.

▲ 만프레드 에메네거-칸츠러 Manfred EMMENEGGER
① 큰 원심체, 70x65x190cm, Terracotta, 2007 ② 휘어진 큰 공간, 120x120x50cm, Terracotta, 2003
Ⅳ-4.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제프 슈무키
1969, Phoenix Arizoan, USA
1993년 노스아리조나대학교의 스튜디오 아트(아리조나)를 졸업하였다. 뉴욕주립 알프레드 대학에서 1998년에 도자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3~1996년 페닉스센터 레지던스 작가를 시작으로 2010년 이탈리아에 로마 아메리칸 아카데미 레지던스 프로그램까지 다채로운 초청작가 및 레지던스 작업에 참여한 바 있다. 2011년 맥콜시각예술센터(샬럿, 노스캐롤라이나)에서의 녹색그림자와, 2010년 어번대학교 비긴 갤러리(어번, 알라바마)에서의 어그리텍쳐展 등 총7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2011년 스테판 F. 오스틴주립대학 아트센터(나코그도치스) 삶의 가장자리 : 삼림병리학 초대展을 비롯하여 다수의 단체전을 개최하였다. 스미소니언 인스티튜트(워싱턴, D.C.), 한국도자재단 이천세계도자센터(이천, 한국), 피엔자 국제도자기박물관(피엔자, 이탈리아), 셰파튼 아트갤러리(빅토리아, 호주), 세이프코(시애틀, 워싱턴)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현재 펜실베이니아 인디애나 대학교 초청작가로 활동 중이다.
▲ 제프 슈무키 Jeff SCHMUKI, 못자리 Nursery, Variable size installation, Terracotta, Cellulose Sponge, Salvia Hispanica Sprouts, 2010
Ⅳ-5.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야세르 발르만
1981, 브레다, 네덜란드
2005년 세인트 유스트 브레다(네덜란드)에서 시각예술로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에 미야기 큐레이터 마스터 클래스 쇼룸(로테르담, 네덜란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2007년에는 샌드버그 인스티튜트(암스테르담)에서 비주얼 아트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3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이 있으며, 2010년 반물질 보다는 더 많은 물질 No. 0이라는 공공미술 작업을 수행하였다.
2010년에는 발로리스 세계 도자 비엔날레(발로리스, 프랑스)에서 대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같은 해 BKVB 자유예산을 받아 빌드 할 워크 전시를 진행하였다. 현재 유럽 도자 센터인 EKWC(스헤르토겐보슈)에서 2008년에 이어 2011년 두 번째 레지던시에 참여하고 있다.

▲ 야세르 발르만 Yasser BALLEMANS, 2,4,5 그리고 6 No 2,4,5 and 6, Variable size installation, Ceramic, 2008
Ⅳ-6. 작가이력 및 작품보기 : 사라 린들리

1973, 클리블랜드, 미국
뉴욕주립 알프레드 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워싱턴 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하여 2001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존 마이클 콜러 아트센터의 아트 & 인더스트리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2003년과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참여하였고, 2009년에는 미시건 예술 대학에서 위트 단기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2005년 사라 린들리展(칼라마주, 미시건)을 시작으로 2006, 2008, 2009, 2010년 총 5회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두 차례의 2인전과 제21회 발로리스 세계 도자 비엔날레(발로리스, 프랑스)를 비롯하여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칼라마주 대학(칼라마주, 미시건)에서 조교(조각 및 도예)로 일을 하였으며, 2008년부터 현재까지는 동대학에서 협력교수로 근무 중이다. 또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아커스 센터에서 펠로우로 재직 중이다.

▲ 사라 린들리 Sarah LINDLEY, 페트로넬라 두노이즈의 캐비넷 하우스 Cabinet House of Petronella Dunois, 97x28x57cm, black Clay, Metal Stand, 2008
Part Ⅳ-1/ 건축과 테라코타
테라코타 건축물 자료전에서는 아직 조명되지 못한 국내외 유명 테라코타 파사드의 건축물 20여동의 사진과 함께 문화와 시대를 반영한 테라코타 건축 양식의 흐름을 주요 건축물 연대표에서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다.


▶ 건축물 보기

▲ 대구상공회의소
건축연도 : 2008(1978)
주 소 : 대구 동구 동대구로 457
설 계 : S&D 건축
지하 1층, 지상 10층의 연면적 16,530m2이다. 테라코타 세라믹 패널로 마감하였다.

▲ 덕수궁 중명전
건축연도 : 1900년 경
주 소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1-11
설 계 : 사바찐(추정) Sabatin
화강석 기단에 벽돌로 축조된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삼면이 베란다로 둘러싸인 르네상스 팔라지오 풍의 벽돌조 건축물이다. 덕수궁 내에 지어진 최초의 양관 중 하나이다. 1925년 화재로 많은 변형이 있었고, 여러 차례 소유권자 이동을 거치며 심하게 훼손되었던 것을 정부가 사들여 사적 124호로 지정하고 원형 복원하였다.

▲ 서울스퀘어
건축연도 : 2009
주 소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가 541번지
설 계 : 정림건축, 아이파크건축
대지면적 10,283,40m², 연면적 132,806,05m²로 테라코타 세라믹 패널로 외장 마감하였다. 사무실, 레스토랑, 상업시설을 갖춘 복합시설로 서울역 맞은편에 위치하여 도시의 첫인상을 여행객들에게 전달하는 주요한 입지에 있다. 미니멀한 건물 파사드는 LED 42,000개로 만들어내는 세계 최대의 미디어 아트를 가능케 한다. <아름다운 얼굴을 가진 디자인 빌딩>으로 예술이 있어 빛나는 건축물이다. 제5회 대한민국 토목건축 기술대상 건축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파스퇴르연구소
건축연도 : 2009
주 소 : 릴, 프랑스
설 계 : 비비에프 건축
이 건축물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따뜻한 느낌의 붉은 색 테라코타 패널이 주는 놀라움과 더불어 다양한 크기의 패널들의 조합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외관을 가진 건축물이다. 1층을 제외하고, 직사각 형태와 원형의 건축물의 외관 전체를 테라코타 패널로 마감하였다.

▲ 센트럴 세인트 자일스
건축연도 : 2010
주 소 : 웨스트 앤드, 런던, 영국
설 계 : 렌조 피아노
런던의 옥스퍼드 스트리트와 코벤 가든 사이에 위치한 센트럴 세인트 자일스는 렌조 피아노가 설계하고, 렌조피아노빌딩워크숍에서 시공하였다. 뉴욕 타임즈 빌딩 외벽을 타고 오르는 세라믹 바게트 시공 이후, 건축가가 보다 본격적으로 테라코타 루버를 건물 전면에 적용한 사례이다. 오색의 테라코타 루버가 건축물의 각 동에 생기를 불어넣으며, 낙후된 구역의 재생이라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였다. 사무실, 주거용 아파트, 상가, 레스토랑이 밀집한 복합시설이다.

▲ 세인트 보톨프스 홀 아파트먼트
건축연도 : 2009(1887)
주 소 : 런던
설 계 : 매튜 로이드 건축
옛 세인트 보톨프스 홀 자리에 건축된 주상 복합 단지이다. 심플하고도 강한 인상을 주는 건물이다. 테라코타 패널을 이용하여 일직선의 반복 패턴으로 장식 마감되었으며, 유리, 강철 외관의 이웃하고 있는 건축물과도 아주 조화롭게 어울린다.

▲ 카우스트
건축연도 : 2010
주 소 :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Jeddah, Saudi Arabia
설 계 : 에이치오케이건축 HOK Architecture
사우디아라비아에 건설되고 있는 교육단지 프로젝트이다. 대학캠퍼스 외에도 10,000 ~ 1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주거단지, 영화관, 은행, 식당 등의 편의시설과 체육시설 등을 포함하고 있다. KAUST 건축 프로젝트에 사용된 테라코타 양은 70,000m²로, km로 환산하면 170km에 이른다. 기능성과 장식성이 조화를 이룬 테라코타 루버는 회색 투톤 칼라가 주조를 이루고 있으며. 형태와 크기는 다양하다. 천일야화의 나라에 세워지는 이번 프로젝트의 공사기간은 1,000일이다.

▲ 플랫아이언빌딩
건축연도 : 1902
주 소 : 175 Fifth Avenue New York City, NY, USA
설 계 : 다니엘 번햄 Daniel Burnham
뾰족한 삼각형 모서리로 유명한 뉴욕의 가장 유명한 건축물 중 하나인 플랫아이언 빌딩은 풀러 빌딩 Fuller Building으로도 불린다. 1903년 사진가 스티글리츠의 사진으로도 유명한데, 건축 디자인은 시카고 스쿨 스타일을 계승하고 있다. 상층부의 건축용 테라코타 장식은 아틀랜틱 테라코타 컴퍼니Atlatic Terra Cotta Company에서 제작하였다. 뉴욕시 랜드마크로 1966년 지정되었으며, 1989년에는 내셔널 히스토릭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
/ 도시만들기 1kg의 건축
세라믹창작센터 퍼블릭아트 프로젝트 '도시만들기-1kg의 건축'에서는 천 여명의 시민들이 소량의 흙으로 살고 싶은 흙집을 만들었다. 시민들은 흙집을 만들며 획일화된 주거공간이 아닌 개성 가득하며 살아 숨 쉬는 건강한 도시를 상상하였고, 흙과 테라코타에 대한 친밀감으로 환경에 새로운 생각을 갖게 되었다.


/ 전시연계 프로그램
1. 학술행사
주 제 : 테라코타, 예술과 건축
일 시 : 2011. 4. 1(금) 10:00~17:00
장 소 :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학술회의장
프로그램 구성
10:00~11:30 흙의 기원, 도자의 물성과 예술성(강연자: 로손 오이칸)
11:30~12:00 질의 및 응답
14:00~15:00 채색인물상의 문화역사적 배경과 표현기법(강연자: 아키오 다카모리)
15:00~16:00 테라코타 여인상의 의미와 제작과정(강연자: 한애규)
16:00~17:00 현대건축에서의 테라코타 파사드 적용사례(강연자: 임진우)
※ 워크숍과 특별강연은 영어와 한국어로 진행되며 통역이 함께합니다.
※ 강연자와 강연내용은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2. 전시연계 교육체험프로그램
2-1. 전시연계 체험 프로그램 - Red Earth
기간 및 장소 : 2011. 4. 1 ~ 8. 28, 전시관 미디어룸
참여대상 : 5세 이상 관람객
참가비용 : 1,000원
신청방법 : 현장신청
프로그램 : 야세르 발만 따라하기, 샤토루 호시노 따라하기, 테라코타 모자이크
※ 운영시간(주중 13:00~16:00/주말 11:00~16:00)
2-2. 테라코타 일일체험 - 치유와 상상의 시간
기간 및 장소 : 2011. 4. 1 ~ 8. 28, 도자체험관
참가비용 : 개인 10,000원/ 단체 8,000원(20인 이상)
신청방법 : 홈페이지 및 현장 신청(단체는 7일전 사전예약 요망)
프로그램 : 1. 테라코타 화분 / 2. 빨개진 내 얼굴 / 3. 1kg의 건축
※ 운영시간(13:00~14:30/14:40~16:10)
2-3.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예술놀이터
기간 및 장소 : 2011. 4. 10 ~ 5. 29, 교육관
참여대상 : 초등학생(8~13세), 정원 수업별 12명
참가비용 : 1강좌 60,000원 ※ 멤버십, 홈페이지 접수 5%할인
신청방법 : 온라인신청
프로그램
1) 영어미술
1) 속닥속닥 키친(4/10~5/1) : 매주 일요일 13:00~14:30
2) 이상한 동물원(5/8~5/29) : 매주 일요일 13:00~14:30
2) 창의미술
- 썬데이 아티스트(4/10~5/1): 매주 일요일 15:00~1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