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조은필
■ 생년: 1979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2015 부산대학교 미술학 박사 졸업
2005 Slade School of Fine Art_University College London (런던대학교), 조각 전공,
MFA (석사) 졸업, 영국
2002 부산대학교 조소과 졸업
■ 개인전
2022 신한카드 로비프로젝트_공간에서 시간으로 2022 (신한카드 본사 로비, 서울)
2022 흔적의 모양 (어컴퍼니, 부산)
2021 어둠과 물이 만났을 때 (고은사진미술관 내 프랑스문화원 아트스페이스, 부산)
2021 그랑브루 (Le Grand Bleu) (정서진아트큐브, 인천)
2020 모든 것이 가능한 시간 (상상마당, 부산)
2020 별을 내려다보는 밤 (예술지구 P, 부산)
2019 So.s(SARUBIA Outreach&Support) 반음-Half tone,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2019 형(形)으로의 회귀 (킴스아트필드 미술관, 부산)
2018 내방의 존재하는 사물들과는 다른 것 (Project B6-갤러리604 기획, 부산)
2017 미디어 파사드 -Moment of fantasy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 부산)
2017 Magical Approach (노블레스 컬렉션, 서울)
2017 환상으로 다가서는 방법 (쏠비치 호텔&리조트 내 아트갤러리D, 양양)
2016 Bring the space in Seoul (예술의 기쁨 김세중 미술관, 서울)
2016 Bring the space (미부아트센터, 부산)
2015 The feather (석당미술관, 부산)
2014 Blooming Blue (부산대학교 아트센터, 부산)
2014 블루-바다, 그 무한의 영역으로 (해운대 舊역사 내부, 부산)
2014 채울 수 없는 꿈 (센텀 병원 윈도우 갤러리, 부산)
2013 Bluescope (롯데갤러리 일산점, 경기)
2012 Blue Beyond The Blue (롯데갤러리 광복점, 부산)
2011 Bluetopia (미술공간 現, 서울)
2010 Blue Obsession as a Drawing (센텀시티 신세계 윈도우 갤러리, 부산)
2009 Blue Obsession (부산시립미술관 내 시민갤러리, 부산)
2002 Making my territory (동래문화회관, 부산)
■ 그룹전
2022 한강조각프로젝트_낙락유람(樂樂遊覽) Enjoyable Tour (뚝섬한강공원, 서울)
치유의 기술-뮤지움원 개관기념전 (뮤지움 원, 부산)
2021 강원국제트리엔날레-Warm Revitalization 따스한 재생(탄약정비공장, 홍천)
대청호환경프로젝트-떠오르는 섬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청주)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온라인특별전-코발트 블루: 예술로 물들이다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비엔날레 온라인 플랫폼)
Sensory Grammar-2021 The MoCa Collection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공공미술프로젝트-부산 사상구 (부산 괘법초등학교, 부산)
2020 The Crossing Border/Border Crossing International Festival of Intermedia:
Here is Mong Kok (JCC Arts Center, Hong Kong)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新섞기시대 Neomixed era, (연미산자연미술공원, 공주)
슬기로운 탐구생활 (을숙도문화회관, 부산)
BAMA 2020 조각 설치 특별전 (벡스코, 부산)
2019 반복과 차이-시간에 관하여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전국체전 100주년 기념 2019 공공미술 축제<퍼블릭X퍼블릭> 예술마을로의 초대
(잠실종합운동장 내 인라인하키장, 서울)
경계와 비경계 사이-대구달성 현대미술제 (강정보 디아크광장, 대구)
공간에서 시간으로 (갤러리 창, 시민화관 기획, 부산)
원더랜드-당신의 원더랜드를 찾아서 (용인문화재단 포은아트갤러리, 경기도)
너는 나에게 (부산시민회관 한슬갤러리, 부산)
반려생활-COMPANION (롯데갤러리 영등포점, 서울)
4482(Korean Contemporary Artist in London), (셀로아트, 서울)
2018 Busan Returns (F1963, 부산)
Art Park (부산 시민공원, 부산)
2017 공간감展-Space+Sympathy (세종문화회관, 서울)
함께해요. 에브리이데이 아트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천변만화/千變萬化/Diversity Hybridizing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제, 울산)
Le grand bleu (갤러리 손, 통영)
잠재적 공동체 (홍티예술촌, 부산)
2016 신나는 미술관-앨리스가 그곳에서 발견한 것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순천만국제자연환경미술제-낙원유람 (순천만국가정원, 순천)
예술, 한옥을 품다-일장추몽(一場秋夢) (남산골 한옥마을
-오위장(五衛將) 김춘영(金春營) 가옥, 서울)
한불 수교 130주년 기념 샤를페로(charles perrault) (피노키오 뮤지엄, 경기도)
찾아가는 문화예술단체-아라가야아트 페스티벌 (경남문화예술진흥원, 함안)
제30회 한국현대조각 초대전 (춘천 MBC 호반광장, 춘천)
교학상장(敎學相長) (부산대학교 아트센터, 부산)
2015 SOMA 야외 프로젝트 S (소마미술관, 서울)
미술관 동물이야기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온몸으로 느끼고 마음으로 만나는 친구...미술 (시청자미디어센터, 부산)
상상정원展 (GS 칼텍스 예울마루, 여수)
달려라 피아노 (부산문화재단 기획- 김해국제공항, 시민공원, 부산)
전국 야외조각 초대전 (울산예술문화회관, 울산)
2014 무빙 트리엔날레 메이드 인 부산 (연안여객터미널, 부산)
정글파티 (신세계 갤러리, 부산)
맥가이버 (이연주 갤러리, 부산)
부산 국제 화랑 아트페어 청년작가 조각 설치 특별전-BAMA2014(벡스코, 부산)
블루 인 블루 II (부산대학교 10.16 기념관, 부산)
조각 바람이 불다 (KOSA Space, 서울)
2013 항구 도시의 만남-함부르크, 상해, 부산 국제교류 (구 부산 진역사, 부산)
다시 열리다 展 (롯데갤러리 광복점, 부산)
부산 비엔날레 ‘바다 미술제’ (송도 해수욕장, 부산)
만지는 3차원 아트 (BS갤러리, 부산)
북극곰 남극에 가다 (예술의 전당 V갤러리, 서울)
2012 NET-CO-소통'을 위한 ‘그물’ (연안여객 터미널, 부산)
한국현대조각 초대전 (춘천 MBC 호반광장, 춘천)
미술관 옆 동물원 (롯데 갤러리, 부산본점)
뜨개질을 펼치다 (부산40계단, 부산)
크게 보기, 작게 보기 (신세계 갤러리, 광주)
도시, 꿈, 기억 (부산시립미술관 금련산 갤러리, 부산)
이상한 동물원 (파주 롯데 갤러리, 파주), (장흥 아트파크 미술관, 경기도)
아시아미술제 Asia Art Festival (성산아트홀, 창원)
춘몽 (영화의 전당, 부산)
백일의 꿈 ( 클레이아크 미술관 , 김해)
2011 꿈이 이루어지는 시간 (롯데 백화점 광복점, 부산)
마치나카 아트 갤러리 (아시아 미술관 , 일본 후쿠오카)
The play 展 (센텀 아트 스페이스, 부산)
REVO KOREA 'MOVING'展 (두산아트 스퀘어, 서울)
바깥, 풍경 - 그림 없는 그림 책 (Kimi art, 서울)
교학상장(敎學相長)전 (부산대학교 아트센터, 부산)
수상한 동물들 (아트 갤러리 U, 부산)
2010 물질의 순환전 (ECO ART)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 부산)
자갈치의 재발견 - 시장에서 미술 찾기 (부산)
야외설치조각전 '팝아트' (김해 문화의 전당, 김해)
산으로 간 펭귄 (백남준 아트센터, 경기)
'달거나 쓰거나' 기획전시 (부산대학교 아트센터, 부산)
2009 국제 영상 설치 Festival (시청,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문화행사 설치전 (보수동 책방골목, 부산)
2005 Twenty to One (ONE CANADA SQUARE' in Canary Wharf, 런던, 영국)
Degree Show (Slade School of Fine Art, 런던, 영국)
2004 Slade Interim Show (Warburn Square Garden, 런던, 영국)
■ 레지던시
2011-2013 또따또가 입주작가
■ 수상
2022 아르코 중견작가 프로모션 기획지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
2017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SO.S(SARUBIA Outreach & Support)프로그램 선정작가
2016 제30회 한국현대조각 초대전 금상 수상 (춘천 MBC)
2015 소마미술관 야외프로젝트 S 최종 당선 (소마미술관)
2013 바다미술제 대상 수상 (부산비엔날레)
2013 Connection Box in Europe-young artist awards 선정 (부산문화재단)
2013 봉생청년문화상 수상 (봉생문화재단)
2013 함부르크, 독일, 상해 국제교류 공모 당선 (다빈예술공간협회)
2013 전국 조각가 협회- 2013 최우수 조각가상 수상 (전국조각가협회)
2010 KIMI Art-2011 kimi for you 선정